08년 리먼 사태의 재발 경고 (아래의 글에서 게시판이 깨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수정하려고 여러 번 시도해도 어찌할 수가 없어서 그대로 두는 것이니 이해바랍니다.) 연말이라 송년회 모임도 많고 집안일도 있고 하다보니 한동안 글을 쓰지 못했습니다. 지난 글, 세한도와 유럽 합중국의 꿈, 에 이어..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2.01.03
세계 각국 경제 동향 ㅇ 그리스 관련 지난 주 세계 경제의 화두는 ‘그리스’였습니다. 그리스 의회에서 재정긴축안이 통과되고, 원래 예정되었던 구제금융 120억 유로를 집행하기로 결정하면서, 언론보도는 마치 모든 문제가 해결된 듯한 분위기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언론기사들이 객관적인 현실을 전해주..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7.12
신림동 고시촌 식당주인과 제과업체 사장에게 배우는 경제학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3.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4. 한국 정유업체에 대한 경제학자들의 아부 또는 거짓말 5. 이상기후와 식량가격 폭등 6. 신림동 고시촌 식당주인과 제과업체 사장에게 배우는 경제학 7. ..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6.22
나는 가수다를 보는 또 다른 관점 감동에 휩쓸려 어제 나가수 방송을 보았습니다. 사실 저는 살짝 음치인지라 원래 노래에 흠뻑 심취해본 적이 별로 없는데, 요새 위대한 탄생과 나가수를 보면서 노래 역시 예술이라는 사실을 제대로 느꼈습니다. 아울러 노래, 연주, 그림, 조각, 건축, 문학 등이 취하고 있는 외양만 다를 뿐 한 가지라..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5.23
미국의 주택지표 동향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3.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4. 유럽의 상황: EU 당국에 대한 기대를 접어버린 금융시장 5. 중국에 대한 루비니 교수의 경고 6. 미국의 주택지표 동향 7. 미국의 기타 경제지표 분석(예정..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5.11
중국에 대한 루비니 교수의 경고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3.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4. 유럽의 상황: EU 당국에 대한 기대를 접어버린 금융시장 5. 중국에 대한 루비니 교수의 경고 6. 미국의 경제지표 분석 (예정) 중국 경제가 처한 상황에 대..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5.06
유럽의 상황: EU 당국에 대한 기대를 접어버린 금융시장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3.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4. 유럽의 상황: EU 당국에 대한 기대를 접어버린 금융시장 5. 중국에 대한 루비니 교수의 경고 6. 미국의 경제지표 분석 유럽의 현재 상황은 이제 EU 당국의..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5.06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3. 우리나라, 미국, 중국의 통화량 증가율 비교 다음은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의 M2 증가율(전년 동월 대비)을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범위가 더 넓은 유동성 지표일수록 실물 경제를 제대로 반영하기 때..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4.11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1.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2. 우리나라 통화량 증가율 변화가 아파트와 주가에 시사하는 점 지난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본원통화와 Lf 동향을 정리한 그래프를 아래와 같이 보여드렸습니다. (이 글은 지난 글로부터 이어지는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난 글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지..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4.08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량 비교 안녕하세요? 꽤 오랜만에 경제지표에 대한 글을 다시 쓰는 듯 합니다. 원래 다음 글은 스태그플레이션이 가능한지 짚어보는 글을 쓰겠노라 약속 드린 바가 있습니다만, 꽤 오랫동안 경제지표를 점검하지 않았기 때문에, 먼저 현 경제상황을 살펴보고 나서 약속 드린 글을 쓰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됩니.. -[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2011.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