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한국, 미국, 중국의 차트 비교와 우리나라의 경기 상황

유랑검 2010. 7. 1. 14:24

다음은 중국 상해종합지수 차트입니다.

 

 

 

 

 

이 차트처럼 하락추세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차트를 찾아보기도 어려울 것입니다.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중국 경제가 미국 경제를 대신해서 세계 경제의 성장동력이 되어줄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을 때, 중국 증시는 진작부터 뚜렷하게 추세를 드러내보여주고 있었던 것입니다.

 

다음은 미국 S&P 500 차트입니다.

 

 

 

 

 

기술적인 반등을 마무리하고 전저점을 재차 뚫고 내려서는 모습입니다. 헤드 앤 숄더(head & shoulder) 비슷한 모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은 우리나라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세계에서 보기 드물게 씩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해종합지수와 S&P 500 이 모두 연저점을 깨고 내려섰다는 사실과 비교해보면, 정말 씩씩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경제는 세계에서 수출의존도가 가장 높은 대외의존형 경제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미국, 유럽, 중국의 현재 상황을 생각해보십시오. 도대체 세계 어느 곳으로 수출을 늘릴 수 있을까요?

 

아래 기사를 보면,

 

5 산업생산 21.5% 증가…선행지수는 하락 한국경제 2010.06.30 오전 08:34

 

5월의 산업생산이 전년동기 대비로 21.5%나 증가했습니다.

이것만 보면 한국경제는 더할 나위없이 좋아보입니다. 하지만 어제 중국 증시의 급락을 불러온 지표이기도 한 경기선행지수를 보면, 우리나라는 벌써 5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즉 한국경제는 지금 당장은 괜찮지만 향후 경기전망은 매우 좋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이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국제 분업관계에서 수입국의 내수 소비와 수출국의 수출 실적 사이에는 시차가 존재합니다. 그 때문에 아직까지 우리나라 수출 제조업이 호조를 보이고 있을 뿐입니다.

거기에 더하여 다시 폭등하기 시작한 환율 덕을 보고 있는 중입니다. 앞으로 환율이 더욱 폭등하면(그렇게 될 것입니다) 그 덕으로 호조세를 좀 더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긴 할 것입니다.

 

재고효과에 관한 저의 지난 글을 읽지 않으신 분들은 꼭 읽어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우리나라에서 나타난 효과

미국 경제에 나타난 재고효과

 

당장은 재고조정으로 인한 시차 때문에 우리나라의 수출 제조업이 호조세를 연장시키고 있지만, 이에는 반대급부가 존재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세계 경제의 침체가 본격화되기 시작하면, 이번에는 재고조정 효과가 반대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수출 제조업은 이번에는 모두의 예상을 넘어서는 훨씬 가파른 침체를 감당해야 하는 것입니다.

 

대외의존형 경제라는 것은 언제나 천수답 신세를 면할 수 없는 것입니다.

 

 

* 같이 올린 글, 컨퍼런스보드 한 마디에 전 세계가 추풍낙엽, 도 참고해주십시오. 

 

 

 

 

ㅇ 책 링크: 불편한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