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에서 최고의 악재는
2008년 3월 18일
주식투자에서 최고의 악재는 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되고 영업이익은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주가만 상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주가형성원리에 역행하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경기에 6개월 정도 선행한다고 하더라도 영업이익은 감소하고 매출액만 증가한다거나, 환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하고 있는 상장기업의 재무구조가 악화된다면 경기선행지수가 반전되더라도 주가상승은 주가형성 원리상 악재일 뿐이다.
3월 17일 모 경제신문에 보도된 2008년 12월 말 현재 한국 상장기업 중 10위권에 들어 있는 기업의 대차대조표 상 부채규모는 20조원이고, 자산은 19조원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외화부채로 인한 환차손이 문제라는 것입니다. 12월 말일기준으로 환율은 달러 당 1,259원 이었으므로 3월 18일 현재보다 10% 이상 환차손 규모가 적은 상태이므로 3월 18일자 환율수준으로 부채를 평가하면 부채는 더욱 증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주가형성원리 상 주가하락요인입니다.
최근 경제 연구소 등에 의하면 1분기 성장률을 마이너스 5~마이너스 8% 정도로 추정되므로 국내외 경제 환경을 감안하면 상반기 중에는 마이너스 5% 이하 성장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정책 당국자들의 희망사항인 금년 중 마이너스 2% 성장이라도 달성되려면 하반기에는 플러스 14% 이상 성장해야 가능합니다.
하반기 중에 14% 이상 성장할 수 있을지 주가지수 상승을 기대하는 증권 전문가들과 정책 당국자들에게 반문하고 싶습니다.
하반기 중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를 뒷받침하는 증거도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증권전문가들 중에는 환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보고 경기회복 신호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정부의 시장개입에 의해서 한국의 원화가치만 일시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것을 보고 해외 경기 회복 신호라고 해석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오히려 수출 주도형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한국경제로서는 인위적으로 정책 당국이 환율하락을 유도하기 보다는 윤증현 장관의 철학대로 환율의 경기자동 조절기능에 맡기는 것이 경기회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국제 원자재 가격이 바닥 수준에서 20~30% 정도 상승한 것을 보고 경기회복 신호라고 해석하는 전문가들도 있으나 지금의 원자재 가격 상승은 경기회복 신호로 해석하기보다는 낙 폭 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 성격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합리적인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매출액 감소와 영업이익 감소 등으로 거품이 생성되고 있는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보다는 원자재에 대한 투자가 상대적으로 안전하기 때문에 불확실한 주식투자보다는 상대적으로 안전한 원자재에 대한 투자를 늘린 결과 원자재가격이 소폭 반등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로 현재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시장에서 1달러라도 더 벌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 채권시장, 외환시장을 총체적으로 공략하고 있다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증권 전문가들과 정책 당국자들이 정보를 왜곡하는 방법으로 순진한 투자자들을 투기성 재테크 시장으로 유인할수록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노름판을 만들어 주어 국부가 유출됨으로써 정책 당국자들이 정의하는 ‘위기의 개념(?)’에 해당되는 진정한 ‘위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거품이 발생한 미국 국채를 매도한 자금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것보다 석유에 투자하는 것이 외화도 절약하고 경기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중국이 생산원가 이하 수준에 있는 국제 원자재에 투자하여 외환보유고를 합리적으로 운용하는 전략은 타산지석이 될 수 있습니다. 경기회복 시기도 앞당기고 중. 장기적으로 주가상승을 유도하는 근본적인 전략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적재산권자 : 한국시장경제연구소(www.kmer.com)
'-[2009년] > Meri님의 경제시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지수 1,200 결코 낮은 수준 아니다.(09.3.30) (0) | 2009.10.15 |
---|---|
기술적 지표에 기초한 매매기법은 경제적 자살행위 (09.3.28) (0) | 2009.10.15 |
지금의 환율 폭등은 장미 빛 경제전망도 중요한 원인 (09.3.3) (0) | 2009.10.15 |
돈을 풀면 경제 살아나나 ? (09.2.27) (0) | 2009.10.15 |
미국 경제 금년 중 회복되기 어려운 이유 (09.2.25) (0) | 2009.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