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세일러님의 경제시각

시장의 관전 포인트, 美 국채 동향 (09.11.18)

유랑검 2009. 11. 23. 16:10

아래 기사를 보시면 루비니 교수가 대놓고 美 국채로 갈아타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

 

루비니, "美주식 팔고 국채로 갈아타라"

| 기사입력 2009-11-16 08:15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장원기자

 

대표적인 비관론자인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학교 교수는 15(이스라엘 현지시각) 미국 증시가 지나치게 빨리 너무 높은 수준까지올랐다고 지적했다.

루비니 교수는 이날 이스라엘의 채널 2 TV와 인터뷰에서 "미국 증시가 지난 8개월간 경제펀더멘털로는 정당화할 수 없는 이유로 너무 성급하게 올랐다" "(주식을팔고) 현금을 보유하거나 단기 美 국채로 갈아타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그는 "나의 견해는 더욱 신중하고 안전하게 생각하는 것이 더 좋다는 말"이라며"현재 미국 경제의 회복은 너무 늦다"고 덧붙였다.

루비니 교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시작된 금융위기를 정확해 예측해 유명해졌으며, 닥터 둠이라는 별명을 가졌을 정도로 월街에서 대표적인 비관론자로 꼽힌다.

-----------------------------

 

 

요즘 시장의 관전 포인트는 美 국채 동향입니다. 

요즘 동향을 보면 달러인덱스가 하락하는 날에도 국채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현상이 의미하는 것은, 달러 캐리 트레이드 주장이 거짓말이라는 점입니다.

금리차를 먹겠다는 전통적 의미의 달러 캐리 트레이드가 벌어지고 있다면 미국채의 가격은 떨어져야 합니다.

요즘은 환차손을 피하려는 캐리 트레이드라는 논리를 구사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미국 주식, 채권 등 달러화 표시 자산가격은 모두 떨어져야 합니다.

 

이래 저래 달러 캐리 트레이드 주장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저의 지난 글,

 

달러 캐리 트레이드론, 근거가 있는가?

 

에 잘못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이렇게 생각해볼 수도 있습니다.

왜 달러 캐리를 하나, 엔화 금리가 더 싼데 엔 캐리를 해야지...

 

그렇지 않습니까? 캐리 트레이드는 기본적으로 금리차를 먹고 들어가겠다는 것입니다. 달러 금리가 싸졌지만 아직도 엔 금리가 더 쌉니다.

당연히 엔 캐리를 해야 합니다.

 

라고 말씀드렸는데, 요즘 리보 금리를 보니 달러화 금리가 조금 더 싸졌습니다.

이 점은 vision님께서 지적해주셔서 알았습니다. 요즘 vision님께는 여러 가지로 신세를 지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아래의 두 차트를 보시면 지난 8월말경부터 달러화 금리가 엔화 금리보다 조금 더 내려온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리보 금리가 다 거기서 거기이다 보니 보는 것이 의미가 없어서 들여다보지 않다 보니 바뀐 걸 모르고 있었습니다.

 

 

 

 

 

위 차트들을 보시면 과거에 엔 캐리 트레이드가 가능했던 환경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08 9월 이전까지 엔화와 다른 주요국 통화 금리 간에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 아래 원엔 주간차트를 보시면 08년 이전에는 엔화의 환율이 아주 안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통화간 캐리 트레이드는 이런 환경에서 가능한 것입니다.

 

 

 

 

 

달러화 리보금리가 조금 더 싸긴 합니다만, 불과 몇 b.p. 정도의 차이를 가지고 지금처럼 환율이 불안정한 국면에서 캐리 트레이드가 생겨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 논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거듭 달러 캐리 트레이드론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은,

이 논리가 자산시장의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으니 빨리 자산시장으로 들어오라는 논리로 쓰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 우리 시장에 들어온 외국자금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자금의 성격은 안정감있게 우리 자산시장의 가격을 밀어올려줄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 아니라 사기치러 들어온 자금이라고 말씀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언제 어느 때 썰물처럼 빠져나갈지 모르는 자금입니다. 그리고 이들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때에는 우리 외환시장에 충격을 가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