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상승 국면에서 주가지수가 하락하는 이유는 ? (08.8.26)
환율상승 국면에서 주가지수가 하락하는 이유는 ?
2008년 8월 26일
가. 환율과 주가지수 상관관계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 수혜주를 추천하고 있으나, 이들 수출 수혜주들도 환율이 상승할수록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 수출기업인 삼성전자 주가도 하락하고 있고, 조선업종 주가는 지난 3월 환율 상승 이후 50% 정도 하락한 상태다.
외환위기 이후 10년 동안 환율과 주가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더라도 증권 전문가들의 주장과 달리 환율이 상승하는 국면에서는 주가지수가 하락하고, 환율이 하락하는 국면에서 주가지수가 오히려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국시장경제연구소(www.kmeri.com) 자료실 참조)
나.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환율상승 원인에서 찾아야 한다. 수급측면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주식을 매도하고 떠나기 때문에 환율이 상승하고, 상장기업의 영업환경이 악화되기 때문에 해당 기업의 주가는 하락하고 환율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수의 투자자들이 주식투자에서 투자손실을 입고 소비여력이 약화된 결과 예상경제성장률 둔화 등으로 환율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환율 하락국면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투자를 늘리고, 경상수지 개선 등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긍정적으로 변화면서 주가지수도 상승하게 된다.
다. 대응전략
주가지수 대세 하락국면에서는 보유주식을 매도하고, 환율상품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이 일시적인 주가지수 반등시기를 이용한 투자전략보다 수익률도 높고, 위험도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가지수 대세 하락기에는 투자대상을 주식시장에서 외환시장으로 옮기는 전략이 좋다. 특히 은행 차입을 통해서 부동산을 구입한 결과 소득대비 부채비율이 높은 투자자의 경우, 아파트가격 하락 시 가계가 파산될 수 있으므로 적은 돈으로 아파트가격 거품 붕괴에 대비할 수 있는 환율상품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는 것도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한국시장경제연구소(www.kmeri.com)